WISH PRODUCT LIST
-
글, 삶, 문법 19,000won
-
계량분석을 통한 한국어 양태부사의 의미·통사적 특성에 관한 ... 17,000won
-
유럽 한국어 교육의 동향과 보고 17,000won
-
예비교사를 위한 한국어교육론 19,000won
-
일제 강점기 간도소설에 대한 재인식 15,000won
-
알 듯 말 듯 마음을 읽는 한국어 대화법 77 14,000won
-
외국인을 위한 문화와 함께 읽는 한국 문학 22,000won
-
외국인을 위한 한국근현대문학사 15,000won
-
한국어교육을 위한 외국어 습득의 이해 15,000won
-
한국어, 문화를 말하다 14,000won
-
한국어 발음과 문법 (개정판) 17,000won
-
우리말의 숲에서 하늘을 보다 11,000won
-
상징을 찾아서 11,000won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표기와 발음 12,000won
-
대조분석을 바탕으로 한 파구문 습득 연구 10,000won
-
국어의미연구의 동양학적 방법론 23,000won
-
다문화 이해를 위한 화용 교육 25,000won
-
한국어 문법, 어떻게 가르치는가? 21,000won
-
우리말 가슴을 울리다 14,000won
-
학문적 글쓰기의 기초 15,000won
-
세상, 아름다운 사랑과 만나다 12,500won
-
외국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24,000won
-
우리말로 깨닫다 12,000won
-
대화 분석을 통한 외국인의 한국어 구어 사용 연구 22,000won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사전 24,000won
-
우리말, 지친 어깨를 토닥이다 12,000won
-
우리말 깨달음 사전 10,000won
-
꿈을 함께 키우는 한국어 교육 이야기 8,000won
-
소통과 나눔의 한국어 교육 이야기 8,000won
-
한국어교육학 사전 75,000won
상세정보
책소개
‘연결어미’는 한국어의 고유한 특성을 보여주는 주요 문법소 중의 하나이므로 이미 한국어에 대한 연구가 시작될 때부터 주요하게 관심을 갖고 살핀 대상이다. 하지만 그간의 관심은 주로 형태·통사론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연결어미를 형태·통사론적으로 살피다 보니 의미적인 기능이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도 역시 이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주로 선행절을 종속적인 것으로 보거나 부사절로서 ‘수식’의 관점에서 논의하는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 책에서 우리는 그런 관점에서 벗어나 연결어미를 이름 그대로 ‘연결’이라는 관점, 즉 선행절과 후행절의 관계라는 점에서 살피고자 했다. 이러한 관점은 선행절뿐만 아니라 후행절의 특성도 연결어미의 기능과 관련하여 살펴야 할 주요한 연구 대상이 되게 하며 의미기능 설정에 있어서도 ‘연결’이라는 것이 근간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책은 연결어미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새롭게 볼 것인지 고민하여 얻은 결과물이다. 연결어미를 새롭게 보기 위해 ‘수식’보다는 ‘연결’의 관점에서 살폈고 새롭게 본 결과 ‘부연’이라는 새로운 ‘접속’ 범주를 상정할 수 있었다. 즉 ‘연결’이기에 ‘부연’과 같이 후행절의 의미 특성으로도 의미 기능을 명세할 수 있었고, ‘연결’이기에 문장의미론의 관점에서 연결어미를 살필 수 있다.
저자소개
임채훈 林采勳, Chaehun Yim
1974년 서울 출생.
경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음.
현재는 숭실대 국어국문학과에서 가르치는 일과 공부하는 일을 하고 있음.
문장의미론을 전공으로 하였으나 화용론, 텍스트 언어학, 한국어교육학으로 관심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새로운 이야기를 듣고 말하는 것을 즐김.
공부하는 이들과 함께 즐거워하는 學友가 되려고 노력하고 있음.
쓴 책으로는 문장의미론을 연구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한 <사건, 발화상황 그리고 문장의미>(2012)가 있음.
전자우편: linguist@naver.com
목차
책을 읽는 분께
1장 실마리, 그리고 시작
1부 연결어미, 어떻게 새롭게 볼 것인가
2장 연결어미의 의미기능과 메타언어 선정에 대하여
3장 인과관계 형성의 인지과정과 연결어미의 상관성에 대하여
4장 화행 영역에서 ‘-지만’이 가지는 ‘대조’의 기능에 대하여
5장 목적절의 유형론적 특징과 한국어 연결어미에 대하여
6장 목적절의 유형론적 특징과 한국어 학습자의 연결어미 습득 양상에 대하여
2부 연결어미, 무엇을 새롭게 볼 것인가
7장 부연의 연결어미 ‘-지’의 의미와 용법
8장 부연의 연결어미 ‘-(으)되’의 의미와 용법
9장 부연의 표현 항목 ‘-지 않고’의 의미와 용법
10장 부연의 문장 부사 ‘그만큼’의 의미와 용법
11장 부연의 유형과 문장의 계열적 의미 관계
12장 마무리, 그리고 또 다른 시작
참고 문헌
고마운 분들께
수록 논문 발표 지면